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무장투쟁
- 제4공화국
- JDBC생성
- 개항기
- 연결 리스트 응용
- JDBC하는법
- 악장
- 애국계몽운동
- ... 등등
- 제3공화국
- framework 기본
- 식민통치
- 자료구조
- 고대문학
- 3.1운동
- 한국_현대사
- CodeUp
- 국어
- 향가
- 연결 리스트
- 고대가요
- JDBC구조
- 스레드 트리
- 경기체가
- 항일운동
- framework 개요
- JDBC기초
- 장면정부
- 처음요리
- 아마추어요리
- Today
- Total
KKH_RECORDS
JSTL : 기본 문법 본문
JSTL 기본 문법
.jar 파일 다운로드 방법 :
http://tomcat.apache.org/download-taglibs.cgi : 하단의 [Jar Files]에 있는 4개 모두 다운로드 (dev 폴더에 넣기)
Apache Tomcat® - Apache Taglibs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aglibs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Apache Standard Taglib,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You must verify the integrity of the downloaded files. We pro
tomcat.apache.org
형광처리된 파일들을 다운받으면 된다.
다운받았다면, 이런 [.jar] 파일들을 보관하는 개인 폴더 [dev]에 4개의 파일들을 저장하자.
사용하는 프로젝트의 [lib] 폴더에 4개의 파일을 넣어준다.
필자와 같은 경우에는 [lib] 폴더가 [WebContent/WEB-INF/lib]에 있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삽입하였다.
실제로 사용하기
파일을 다운로드하였으니, 이제 실제로 사용해보자.
workspace에 [03_custom]이라는 폴더를 만들자.
그 안에 [01_1_multiply.jsp] 파일을 만들고, [index.jsp]의 list에도 넣어주자.
실습은 나중에 이어가는 걸로 하고, 일단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자.
JSP에서 [lib]에 [.jar]파일을 넣은 뒤 JSTL을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구문을 작성하여야 한다.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taglib] 지시자를 이용하여 사용할 태그 라이브러리를 선언한다.
당연하겠지만 단순 jstl 말고도 여러가지가 있으니 사용법을 안다면 사용하도록 하자(!)
[prefix] 지시자를 이용하여 앞 첨자를 지정한다. 다른 태그와 구별할 수 있는 name space를 제공한다.
코드에는 c라고 쓰여져 있으므로 다음의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efix:이름]
<c:이름>
[uri] 지시자는 실제 Web 주소가 아니라 Tag Library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tlb상의 uri를 가르킨다. 이 지시자를 통해 작성한 태그명과 매칭되는 Java Code를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