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DBC생성
- framework 개요
- 3.1운동
- 경기체가
- 개항기
- JDBC구조
- 식민통치
- 연결 리스트
- 제3공화국
- 애국계몽운동
- 처음요리
- 아마추어요리
- JDBC하는법
- 장면정부
- 악장
- 항일운동
- 고대가요
- JDBC기초
- 연결 리스트 응용
- 국어
- framework 기본
- 고대문학
- CodeUp
- 스레드 트리
- 무장투쟁
- 한국_현대사
- 제4공화국
- ... 등등
- 자료구조
- 향가
- Today
- Total
목록자료구조 (8)
KKH_RECORDS

1) 힙 : 힙은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 올린 더미를 일컬음. 이는 제일 위에 있는 자료부터 선택해야 하는 구조를 상징함. 힙은 포화 이진 트리임. : 최대힙 = 트리의 모든 노드가 자식노드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일컬음. 최대힙에서는 루트가 최대값이 됨. : 최소힙 = 트리의 모든 노드가 자식노드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일컬음. 최소힙에서의 루트는 최소값과 같음. 2) 힙의 추상 자료형 : insert(element) = 힙에 데이터 삽입 : remove() = 힙(루트)에서 데이터 삭제 : peek() = 힙(루트)의 데이터 읽어 오기 : isEmpty( ) = 힙이 비었는지 확인 : size() = 힙에 저장한 데이터 개수 확인 게시일: 2019. 3. 30. 16:43 원 주소: https://b..

07. 트리 1) 트리(tree) : 트리란 자료를 배열하는 방식 중 계층이 있는 것을 가르킴. : 과 같은 형태를 띔. 2) 트리의 용어 / 논리적 표현 방법 : 각 항목을 노드(node) 또는 정점(vertex)라고 부름. : 가장 위의 부모 없는 노드를 루트 노드라고 부름. : 부모 있는 노드들을 서브 노드라고 부름. 3) 이진 트리 : 트리 중 모든 노드의 차수가 2 이하인 트리를 이진 트리라고 부름. 08. 스레드 트리 1) 스레드 트리 : 스레드 트리는 스레드라는 포인터5-2)를 이용하여 순회를 더욱 편리하게 한 것이다. 게시일: 2019. 3. 30. 16:29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501267638 07. 트리 08. 스레드 트리 ..
05. 연결 리스트 1) 리스트 : 리스트는 일정한 순서를 통해 자료를 배열하는 것. : 배열2-1)과의 차이점 → 리스트-논리적 순서, 배열-물리/논리적 순서. 2) 포인터 : 포인터란 메모리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변수임. : &, * 등의 연산자를 사용. 06. 연결 리스트 응용 1) 연결 리스트의 종류 : 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는 한 개의 링크를 가짐. 각각의 노드는 후행 노드를 가리킴. 후행 노드로의 접근은 용이하나 선행 노드 접근을 위해서는 재검색이 필요함. :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는 두 링크를 가짐. 각각 선행 노드, 후행 노드를 가리킴. :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linked list)는 앞의 두 방식과 달리 맨 마지..

1) 큐 : 큐는 스택3-1)과 다르게 FIFO(First In First Out)의 구조를 띄고 있음. : 처럼 먼저 들어간 정보가 먼저 출력되는 형태를 지님. : 정보 삭제 연산이 이루어지는 곳을 Front(앞)로, 정보 입력 연산이 이루어지는 곳을 Rear(뒤)로 부름. 2) 큐의 연산자 : Create_q(maxQueueSize) : IsFull_q(queue, maxQueueSize) : Add_q(queue, item) : IsEmpty(queue) : Delete_q(queue) 3) RR(Round Robin) 기법 : RR(Round Robin) 기법은 메모리의 정해진 양을 돌아가면서 배분하는 기법. 게시일: 2019. 3. 30. 16:24 원 주소: https://blog.naver...

1) 스택 : 스택은 추상 자료형의 하나로, 객체가 저장되는 순서를 기억하는 방법임. : 과 같은 형태로 정보의 입력과 출력이 같은 구멍에서 이뤄짐. 이는 나중에 들어간 정보가 먼저 나오는 LIFO의 형태를 띄게 됨. LIFO = Last In First Out : 이 때 스택의 입구 부분을 Top(톱)이라 부름. 2) 추상 자료형의 명령어 : push(add)는 원소를 하나 삽입하고 top 포인터를 하나 증가시킴. : pop(delete)는 원소를 하나 삭제하고 top 포인터를 하나 줄임. 3) 스택의 연산자 : CreateS(maxCreateSIze) = 스택의 크기가 maxCreateSize인 스택을 생성함. : IsFull(stack, maxStackSize) = stack이라는 스택이 가득 찼는..
1) 배열 : 배열은 ‘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음’이라는 뜻임. : 인덱스, 원소값으로 구성된 집합. : 배열의 순서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원소의 물리적 순서와 동일함. : 1차원, 2차원…… 등의 배열이 있음. 1차원 배열은 한 줄이므로 한 개의 인덱스를, 2차원은 n*n의 형태이므로 2개의 인덱스를 지님. : 명령어(create, retrieve, store 등) create(n)는 n개의 원소를 저장하는 빈 배열(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뜻함. retrieve(a, i)는 배열 a의 인덱스 i를 받아 i의 원소값 e를 출력하는 함수. store(a, i, e)는 인덱스를 검사해 i가 유효할 때 의 형태로 원소값을 i에 저장하고 a를 반환. 게시일: 2019. 3. 23. 15:01 원 주..
1) 자료와 정보의 관계 : 자료는 현실 세계에서 관찰과 측정을 통해 얻는 값(value)이나 사실(fact)을 말함. 특히 물리적으로 체험할 수 있고 표현할 수도 있는 값을 말함. : 정보는 상황에 알맞게 사용하기 위해 정리된 자료1-1)의 2차 결과물임. 2) 추상화 : 추상화는 공통적인 개념, 특징 등을 통해 많은 객체와 자료를 정의하는 것임. 3) 자료구조란? : 자료구조란 추상화1-2)를 통해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시킨 것임. 4) 알고리즘 : 알고리즘은 컴퓨터가 사용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이 사람에게 추상화1-2) 되는 것을 뜻함. : 출력, 유효성, 입력, 명확성, 유한성 등이 조건으로 있음. 게시일: 2019. 3. 23. 14:50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
목차 01. 자료구조란 무엇인가 1) 자료와 정보의 관계 2) 추상화 3) 자료구조란? 4) 알고리즘 02. 배열 1) 배열 03. 스택 1) 스택 2) 추상 자료형의 명령어 3) 스택의 연산자 4) 표기법 04. 큐 1) 큐 2) 큐의 연산자 3) RR(Round Robin) 기법 05. 연결 리스트 1) 리스트 2) 포인터 06. 연결 리스트 응용 1) 연결 리스트의 종류 07. 트리(tree) 1) 트리(tree) 2) 트리의 용어 / 논리적 표현 방법 3) 이진 트리 08. 스레드 트리 1) 스레드 트리 09. 힙 1) 힙 2) 힙의 추상 자료형 10. 선택트리 1) 선택트리 2) 숲 11.BS, Splay, AVL, BB 1) BS 트리 2) Splay, AVL, BB 트리 12. 멀티웨어 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