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료구조
- 개항기
- framework 개요
- 아마추어요리
- ... 등등
- 식민통치
- 무장투쟁
- framework 기본
- 애국계몽운동
- 고대문학
- JDBC구조
- 스레드 트리
- JDBC기초
- 연결 리스트 응용
- JDBC하는법
- 3.1운동
- 경기체가
- 처음요리
- 제4공화국
- 제3공화국
- 고대가요
- 국어
- 한국_현대사
- 향가
- JDBC생성
- 항일운동
- CodeUp
- 악장
- 장면정부
- 연결 리스트
- Today
- Total
목록국어 (5)
KKH_RECORDS
고전소설 1 고대소설 : 설화를 바탕으로 형성 (서사문학) : 설화 → 패관 문학 → 가전체 → 고전소설 설화 → 판소리 사설 → 판소리계 소설 : 평면적, 전형적 인물 / 우연적, 전기적, 비현실적 사건 / 권선징악, Happy Ending 2 판소리계 소설 : 전지적 시점, 대화 위주 : 설화소설, 우화소설, 염정소설, 풍자소설 3 한문소설 : 고려-패관문학과 가전체 문학, 중국의 전기 소설의 영향으로 발전. : 김시습-금오신화 → 임제-원생몽유록 현대문학 1 1910년대 : 시대적 배경 = 일제 강점기의 시작 → 민족의식 제고, 민족 계몽운동, 서구문학기법 수용 : 1910년대 시의 특징 자유시의 등장, 계몽성/교훈성의 쇠퇴, 새로운 형식/내용의 모색 : 의의 과도기적, 근대시 발전 방향 구체화..
1. 악장(樂章) : 조선 초기에 궁중 의식을 위해 쓰임. : 훈민정음을 test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작품이 있음. 용비어천가(세종, 반포 전), 월인천강지곡(세조, 불교) 2 시조 : 고려 중엽 이후 신흥 사대부의 성리학(유교적) 이념을 표출하며 만들어짐. : 4음보 (3434, 3543 등), 3장 6구 45자 내외. 3•4조, 4•4조. : 평시조 = 시조의 기본형. 단형(斷刑) 시조. 형식을 지키며 제목 X : 엇시조, 사설시조 = 중장(or 초장/종장)이 2배 정도 긴 형태. : 연시조 = 평시조가 여럿 합쳐진 형태 3 가사 : 시조와 마찬가지로 가사체(3•4조, 4•4조)를 지킴. : 정격 가사 = 마지막 행의 첫 구가 시조의 종장과 같이 3음절로 된 형태 : 변격 가사 = 그 이외의 것..
1. 고려 가요(속요) 高麗歌謠(俗謠) : 신라 시작, 고려 초까지 향유. : 민간 구비전승 → 고려 말 궁중에 수용 → 훈민정음 창제 후 성종 때 기록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 평민 계층, 진솔한 생활 감정. 사랑, 이별, 자연 등을 소박/솔직하게 표현. : 3음보의 분절체(분연체, 연장체), 3•3•2조 사모곡 부모의 사랑을 호미와 낫에 비유 동동 달마다 자연 경물이나 행사를 표현 – 월령가 시초 처용가 향가 를 부연해서 부른 무가. 청산별곡 고려 후기 유랑민의 고달픈 삶과 고뇌 가시리 남녀 간의 애탄 이별 노래 서경별곡 서경을 무대로 한 이별가 쌍화점 남녀상열지사 만전춘 남녀상열지사 이상곡 남녀상열지사 2. 경기체가 景幾體歌 : 경기하여가 景畿何如歌 라고도 함. : 고려 중기 → 조선 초..
1. 고대가요 구지가 가락국(가야) 수로왕 강림 기원, 주술적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처/여옥 익사한 남편을 애도, 최고(最古)의 시가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이별의 슬픔을 황조(꾀꼬리)와 비교 정읍사 백제 행상인의 아내 행상 나간 남편의 안전을 기원(to 달) 해가 미상 수로 부인을 구하기 위한 주술적 노래 2. 향가 鄕歌 : 신라 시작, 고려 초까지 향유. : 서정시, 4구체•8구체•10구체의 정형화된 형식. : 완성된 형태의 10구체 향가를 ‘사뇌가’라고 지칭. : 25수가 보존됨. 삼국유사(14수, 삼국시대) 균여전(11수=보현십원가, 고려시대) 서동요 백제 무왕 서동이 선화 공주를 차지하기 위함 도솔가 월명사 괴변을 없애기 위함 모죽지랑가 득오 화랑 죽지랑을 사모 처용가 처용 아내를 침범한 역신을..
1. 고대(문화 발생 ~ 통일신라): 향가 : 집단 서사문학 → 개인적 서정문학. : 고대시가/설화 등 중국의 한자로 기록. (향찰, 이두, 구결) : 초기(무속신앙/토템) → 통일신라 이후(불교/유교/도교) 2. 고려: 경기체가(귀족), 고려속요(평민) : 설화가 문헌으로 기록. 가전체 문학과 패관 문학이 등장. 3. 조선 전기(건국~임진왜란): 시조, 가사 : 훈민정음을 계기로 국문학 발달 : 시조(평시조), 가사 등 운문문학 발달 : 유교적 이념(관념적) = 성리학이 사상적 배경 : 경기체가(고려 귀족) → 악장(樂章, 곧 소멸) → 가사(조선 양반) : 악학궤범, 악장가사, 고려사악지, 시용향악보 등에서 구전작품을 기록 4. 조선 후기(임진왜란~갑오개혁): 시조, 가사, 소설, 서민예술 :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