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 악장
- 처음요리
- JDBC하는법
- 제3공화국
- 3.1운동
- 스레드 트리
- JDBC기초
- 경기체가
- 무장투쟁
- framework 기본
- 애국계몽운동
- CodeUp
- 개항기
- 고대가요
- ... 등등
- 아마추어요리
- 장면정부
- 국어
- framework 개요
- 식민통치
- JDBC구조
- JDBC생성
- 고대문학
- 항일운동
- 한국_현대사
- 연결 리스트 응용
- 제4공화국
- 연결 리스트
- 자료구조
- 향가
Archives 🤔
- Today
- Total
목록고대문학 (1)
KKH_RECORDS
고대 문학의 흐름
1. 고대(문화 발생 ~ 통일신라): 향가 : 집단 서사문학 → 개인적 서정문학. : 고대시가/설화 등 중국의 한자로 기록. (향찰, 이두, 구결) : 초기(무속신앙/토템) → 통일신라 이후(불교/유교/도교) 2. 고려: 경기체가(귀족), 고려속요(평민) : 설화가 문헌으로 기록. 가전체 문학과 패관 문학이 등장. 3. 조선 전기(건국~임진왜란): 시조, 가사 : 훈민정음을 계기로 국문학 발달 : 시조(평시조), 가사 등 운문문학 발달 : 유교적 이념(관념적) = 성리학이 사상적 배경 : 경기체가(고려 귀족) → 악장(樂章, 곧 소멸) → 가사(조선 양반) : 악학궤범, 악장가사, 고려사악지, 시용향악보 등에서 구전작품을 기록 4. 조선 후기(임진왜란~갑오개혁): 시조, 가사, 소설, 서민예술 : 양..
Records 1 : Study/Korean Language
2019. 11. 8.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