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H_RECORDS

배열 본문

Records 1 : Study/자료구조

배열

피아노치는 개발자, kkim 2019. 11. 8. 13:09

1) 배열

배열은 ‘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음’이라는 뜻임.

: 인덱스, 원소값<index, value>으로 구성된 집합.

: 배열의 순서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원소의 물리적 순서와 동일함.

: 1차원, 2차원…… 등의 배열이 있음.

1차원 배열은 한 줄이므로 한 개의 인덱스를, 2차원은 n*n의 형태이므로 2개의 인덱스를 지님.

: 명령어(create, retrieve, store 등)

create(n)는 n개의 원소를 저장하는 빈 배열(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뜻함.

retrieve(a, i)는 배열 a의 인덱스 i를 받아 i의 원소값 e를 출력하는 함수.

store(a, i, e)는 인덱스를 검사해 i가 유효할 때 <i, e>의 형태로 원소값을 i에 저장하고 a를 반환.

 

게시일: 2019. 3. 23. 15:01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495435944

 

02. 배열

1) 배열: 배열은 ‘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음’이라는 뜻임.: 인덱스, 원소값<index, value&...<="" p=""> </index,>

blog.naver.com

 

'Records 1 : Study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 리스트  (0) 2019.11.08
QUEUE (큐)  (0) 2019.11.08
STACK(스택)  (0) 2019.11.08
자료구조란 무엇인가  (0) 2019.11.08
Prolog  (0) 2019.11.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