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H_RECORDS

STACK(스택) 본문

Records 1 : Study/자료구조

STACK(스택)

피아노치는 개발자, kkim 2019. 11. 8. 13:17

1) 스택

스택은 추상 자료형의 하나로, 객체가 저장되는 순서를 기억하는 방법임.

<그림 3-1>과 같은 형태로 정보의 입력과 출력이 같은 구멍에서 이뤄짐.

이는 나중에 들어간 정보가 먼저 나오는 LIFO의 형태를 띄게 됨.

LIFO = Last In First Out

: 이 때 스택의 입구 부분을 Top(톱)이라 부름.

 

2) 추상 자료형의 명령어

: push(add)는 원소를 하나 삽입하고 top 포인터를 하나 증가시킴.

: pop(delete)는 원소를 하나 삭제하고 top 포인터를 하나 줄임.

 

3) 스택의 연산자

: CreateS(maxCreateSIze) = 스택의 크기가 maxCreateSize인 스택을 생성함.

: IsFull(stack, maxStackSize) = stack이라는 스택이 가득 찼는지 확인함.

: IsEmpty(stack) = stack이라는 스택이 스택이 빈 스택인지 확인함.

 

4) 표기법

전위 표기법은 A+B를 +AB와 같이 연산자를 맨 앞에 놓는 방식임. Polish notation이라고 함.

중위 표기법은 연산자를 피 연산자 사이에 표기하는 일반적인 방법임.

후위 표기법은 A+B를 AB+와 같이 연산자를 맨 뒤에 놓는 방식임.

<그림 3-1>: 스택의 형태 ​

게시일:  2019. 3. 23. 15:20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495447786

 

03. 스택 (stack)

1) 스택: 스택은 추상 자료형의 하나로, 객체가 저장되는 순서를 기억하는 방법임.: <그림 3-1>과 같...

blog.naver.com

 

'Records 1 : Study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 리스트  (0) 2019.11.08
QUEUE (큐)  (0) 2019.11.08
배열  (0) 2019.11.08
자료구조란 무엇인가  (0) 2019.11.08
Prolog  (0) 2019.11.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