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향가
- 연결 리스트
- 고대문학
- 악장
- JDBC구조
- 경기체가
- ... 등등
- 처음요리
- JDBC기초
- 항일운동
- 장면정부
- framework 기본
- 자료구조
- CodeUp
- JDBC하는법
- 제4공화국
- 식민통치
- 고대가요
- JDBC생성
- 애국계몽운동
- 연결 리스트 응용
- 아마추어요리
- framework 개요
- 3.1운동
- 무장투쟁
- 한국_현대사
- 제3공화국
- 스레드 트리
- 개항기
- 국어
- Today
- Total
KKH_RECORDS
한국 근대사 본문
1. 개항기 (표)
병인양요 |
1866 |
프랑스, 병인박해 빌미 |
오페르트 도굴사건 |
1868 |
독일, 대원군 父 묘 도굴 |
신미양요 |
1871 |
미국, 제너럴셔먼호 사건 빌미 |
강화도 조약 |
1876 |
일본, 운요호 사건 빌미 최초의 불평등 조약 치외법권, 삼포개방, 해양 측량 |
임오군란 |
1882 |
구식 군대 처우 불만 |
갑신정변 |
1884 |
급진개화파, 3일천하, 김옥균/박영효 청 사대외교 폐지, 입헌군주제, 지조법, 인민평등권 등 → 텐진조약(청&일), 한성조약(조&일) |
1차 동학농민운동 |
1894 |
동학, 농민, 전봉준 원인: 고부농민봉기(조병갑의 횡포) 결과: 전주화약(농민&나라), 집강소 설치(폐정개혁안) 폐정개혁안 = 경제 → 무명 잡세 X, 토지 균등 분배 사회 → 노비 문서 소각, 과부 재혼, 日 내통 처벌 |
1차 갑오개혁 |
1894 |
배경: (內) 동학농민군 → 교정청 → 군국기무처 (外) 日 경복궁 점령 내용: 정치) 궁궐/정치 분리, 과거제 X, 연호 개국 경제) 제정 일원화, 조세 공납화 사회) 신분제 X, 과부 재혼 O, 고문 X, 연좌제 X |
2차 동학농민운동 |
1894 |
배경: 日 경복궁 점령, 靑•日 전쟁 주요 내용: 공주 우금치 전투 패배 (with 靑) |
2차 갑오개혁 |
1894-5 |
배경: 日 靑•日 전쟁 승리 내용: 정치) 홍범 14조, 7부 설치, 23조 개편 교육) 교육입국조서 / 사회) 재판(사법권) 독립 |
을미개혁 |
1895 |
배경: 日 靑•日 전쟁 승리 → 삼국 간섭 → 조선 친러화 → 을미사변, 을미개혁 (→ 을미의병) 내용: 정치) 연호 건양 / 군사) 친위대, 장위대(지방) 사회) 태양력, 우편, 종두법(천연두), 단발령(의병 촉발) |
아관파천 |
1896 |
친러 내각 수립, 열강 이권 침탈 심화 |
독립협회 |
1896-8 |
by 서재필 + 개화파 지식인 + 관료~백정 내용: 독립신문, 독립문, 민중계몽, 만민공동회, 관민공동회 |
대한제국 선포 |
1897 |
광무개혁(구본신참), 전제 황권, 대한국 국제 원수부와 시위대, 양전, 토지소유분서(지계), 실업학교 독도(칙령 41호 = 울릉도 → 울도군(+독도) 간도(백두산 정계비, 일본 간도협약) |
을사조약 |
1905 |
배경: 亞•日 전쟁 日 승리 → 韓•日 의정서 (1904, 土) = 독도 강탈, 황무지 개간 → 1차 한일 협약 (1904, 人) = 스티븐스, 메가타 내용: 총독부 설치, 외교권 박탈, 이토 히로부미, 통감부 설치 반대: 시일야방성대곡(황성신문), 민영환 자결 |
헤이그 특사 파견 |
1906 |
배경: 日 을사조약 체결, 외교권 박탈, 국새 미발인 조약 내용: 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에 을사조약의 강요를 알림 (실패) 결과: 고종 퇴위 (1907) →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
2. 항일운동
1) 애국계몽운동
보안회 |
1904 |
日 황무지 개간권 저지 |
헌정연구회 |
1905 |
독립협회 계승, 입헌정체 수립운동 |
대한자강회 |
1906 |
헌정연구회 계승, 고종 강제퇴위 반대 |
신민회 |
1907 |
안창호, 양기탁, 신채호, 박은식 등 (국내 비밀결사) 국권회복, 공화정체 → 국민주권 국가 건설 교육) 대성학교, 오산학교 산업) 평양 자기회사, 대구 태극사관 독립운동기지 건설) 만주에 신흥무관학교 건설 일제의 105인 사건 날조로 인해 해산 |
2) 1910년대 식민통치
• 통치 방식
조선총독부(총독=군인, 입법/사법/행정/군대), 헌병(즉결처분권, 태형), 교원(제복&칼), 대한매일신보 폐간
105인 사건(신민회 해산), 제1차 조선교육령 공포(우민화)
• 경제 수탈
동양척식주식회사(1908) → 회사령(1910) → 토지조사령(1912)
• 저항 운동
內) 비밀결사 = 독립의군부(1912, 임병찬(의병), 복벽주의, 서신 시도 to 총독, 고종의 밀명으로 조직)
대한광복회(1915, 박상진(대구)/김좌진, 군대식, 공화제, 무장독립투쟁)
송죽회(1913, 평양 숭의여학교 교사 중심 결성, 독립투사 가족 지원)
外) 무장투쟁 = 북간도 → 서전서숙-명동학교, 북로군정서(대종교)
(남만주) 서간도 → 신민회-신흥무관학교, 서로군정서/대한독립단
연해주 → 대한광복군(임정, 1914), 13도 창의군(서울진공작전)
항일운동 무장투쟁지역
• 3•1 운동
배경: 러시아 혁명, 윌슨-민족자결주의
전개: 민족대표 33인 → 학생 주도 도시 확대 → 농촌 확산(무력) → 국외 확산
영향: 일제 통치방식 무단통치 → 문화통치 / 5•4 운동(中), 간디-비폭력운동(印) / 대한민국 임정 수립
3) 1920년대 식민통치
• 20년대의 통치 방식 = 문화통치(총독=무관+문관, but 유명무실) / 경찰제(헌병경찰 → 보통경찰, but 양 3배)
민족신문 발행(검열) / 교육기회 확대(고등교육 X) / 친일파 양성 / 산미 증식 계획
회사령 폐지(신고만)
• 항일 운동 = 6•10 만세운동(1926, 순종 인산일 → 신간회 결성),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신간회 후원)
물산장려운동(1922, 조만식 등 평양 주최, 국산품 애용 → 국산품 가격 폭등 → 좌익 반발)
• 무장 투쟁 = 봉오동 전투(홍범도, 대한독립군, 연해주) → 청산리 대첩(김좌진, 북로군정서 + 군 연합)
→ 간도 참변(민간인) → 자유시 참변(1921) → 3부 결성(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1923~25)
• 임시 정부(20년대) = 의열단(1919, 김상옥, 나석주, 최수봉),
한인애국단(1926-31, 김구 조직, 이봉창, 윤봉길 등)
3) 1930~40년대 식민통치
• 민족주의 사학
민족주의 사학 |
박은식 |
민족정신 = ‘혼’, 나라는 형, 역사는 신 유교구신론,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연개소문전> 임시정부 2대 대통령 |
신채호 |
‘낭가사상’,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 (아 = 我) <독사신론>,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을지문덕전> 신민회 참여 |
|
정인보 |
민족정신 = ‘얼’, 신채호를 이은 고대사 연구 <조선사연구> |
|
문일평 |
민족정신 = ‘조선심’, <한미 50년사>, <호암전집> |
|
사회경제 사학 |
백남운 |
유뮬사관, 세계사의 보편성 위에 한국사를 체계화 <조선사회경제사> |
실증 사학 |
진단학회 |
랑케 사상의 영향, 이병도, 손진태 등 청구학회의 역사외곡에 저항 |
• 조선어학회
조선어 연구회(1921) = 한글잡지 간행, 가갸날 제정
조선어학회(1931) = 조선어 연구회 개편, 한글교재 출판,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 제정,
우리말 큰사전 편찬 착수,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인해 해산
게시일 : 2019. 3. 3. 12:20
'Records 1 : Study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현대사 (0) | 2019.1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