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H_RECORDS

고대 문학의 흐름 본문

Records 1 : Study/Korean Language

고대 문학의 흐름

피아노치는 개발자, kkim 2019. 11. 8. 12:29

1. 고대(문화 발생 ~ 통일신라): 향가

: 집단 서사문학 → 개인적 서정문학.

: 고대시가/설화 등 중국의 한자로 기록. (향찰, 이두, 구결)

: 초기(무속신앙/토템) → 통일신라 이후(불교/유교/도교)

2. 고려: 경기체가(귀족), 고려속요(평민)

: 설화가 문헌으로 기록. 가전체 문학과 패관 문학이 등장.

 

3. 조선 전기(건국~임진왜란): 시조, 가사

: 훈민정음을 계기로 국문학 발달

: 시조(평시조), 가사 등 운문문학 발달

: 유교적 이념(관념적) = 성리학이 사상적 배경

: 경기체가(고려 귀족) → 악장(樂章, 곧 소멸) → 가사(조선 양반)

: 악학궤범, 악장가사, 고려사악지, 시용향악보 등에서 구전작품을 기록

 

4. 조선 후기(임진왜란~갑오개혁): 시조, 가사, 소설, 서민예술

: 양반/사대부의 권위 하락 → 평민도 문학을 즐김(사대부를 비판)

: 산문 중심의 문학 발전, 현실적/구체적 작품 多

: 시조의 다양화(평민들의 사설시조/엇시조, 평시조를 연결한 연시조)

: 기행가사(서사성) 발달

: 여류문학 형성, 기록문학 성행, 한글수필 본격화

: 서민예술 발달(판소리, 민속극 등)

 

게시일: 2019.3.3. 12:22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479025550

 

국어 - 고대 문학의 흐름

1. 고대(문화 발생 ~ 통일신라): 향가: 집단 서사문학 → 개인적 서정문학.: 고대시가/설화 등 중국의 한자...

blog.naver.com

'Records 1 : Study > Korean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 현대 문학(1910~20)  (0) 2019.11.08
악장, 시조, 가사  (0) 2019.11.08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0) 2019.11.08
고대가요와 향가  (0) 2019.11.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