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H_RECORDS

고전소설, 현대 문학(1910~20) 본문

Records 1 : Study/Korean Language

고전소설, 현대 문학(1910~20)

피아노치는 개발자, kkim 2019. 11. 8. 12:49

고전소설

1 고대소설

: 설화를 바탕으로 형성 (서사문학)

: 설화 → 패관 문학 → 가전체 → 고전소설

설화 → 판소리 사설 → 판소리계 소설

: 평면적, 전형적 인물 / 우연적, 전기적, 비현실적 사건 / 권선징악, Happy Ending

 

2 판소리계 소설

: 전지적 시점, 대화 위주

: 설화소설, 우화소설, 염정소설, 풍자소설

 

3 한문소설

: 고려-패관문학과 가전체 문학, 중국의 전기 소설의 영향으로 발전.

: 김시습-금오신화 → 임제-원생몽유록

현대문학

1 1910년대

: 시대적 배경 = 일제 강점기의 시작 → 민족의식 제고, 민족 계몽운동, 서구문학기법 수용

: 1910년대 시의 특징

자유시의 등장, 계몽성/교훈성의 쇠퇴, 새로운 형식/내용의 모색

: 의의

과도기적, 근대시 발전 방향 구체화, 서양 시 번역 및 소개, 신소설

: 대표 발표지 = 『소년』, 『청춘』, 『학지광』, 『태서문예신보』, 『매일신보』, 『유심』

: 주요 작가

이인직 = 최초의 신소설 “혈의 누”, “귀의 성”, “치악산”

이해조 = “자유종” → 여성 교육 필요

최찬식 = “추월색”

안국선 = “금수회의록” → 우화적

 

2 1920년대 – 근대문학 도입

: 시대적 배경 = 신문학의 개화기

일제의 방해로 낭만주의•자연주의•상징주의 등이 형성됨.

: 근대문학의 특징

영웅적 형상의 약화

단선적 서술구조의 약화

전지적 서술자의 후퇴

시간적 경향에서 공간적 경향으로 이행

: 문예지의 등장 = 『창조』, 『개벽』, 『폐허』, 『장미촌』, 『백조』, 『금성』, 『영대』, 『조선문단』

『창조』 = 자유시, 최초의 동인지

『폐허』 = 박종화•홍사용•이상화•박영희•나도향 등

『장미촌』 = 김억•오상순•황석우•염상섭 등

: 주요 작가

 이광수 = “무정”(최초) → 구어체, 언문일치, 계몽주의

 현진건 = “운수 좋은 날”, “삼대”, “B사감과 러브레터” = 사실주의

 염상섭 = “표본실의 청개구리”(자연주의)

 김동인 = “감자”(자연적), “배따라기”(낭만적) = 단편소설의 대가, 비어 多, 환경결정론

 나도향 = “물레방아”, “뽕”, “벙어리 삼룡이” = 애상적

 최서해 = “홍염”(경험 중심, 결말 살인/방화 → 신경향파) = KARF

시 _____________

 김소월 = “진달래꽃”

한용운 = “님의 침묵”, 불교적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최초의 신체시, 1908)

이병기 = 시조. “난초”, “매화”

이상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KARF 등장 (사회주의 문학) = 염상섭, 양주동, 이병기, 정인보

 

게시일: 2019. 3. 5. 23:09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481143617

 

국어 - 악장, 시조, 가사

1 악장(樂章): 조선 초기에 궁중 의식을 위해 쓰임.: 훈민정음을 test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작품이 있...

blog.naver.com

 

'Records 1 : Study > Korean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장, 시조, 가사  (0) 2019.11.08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0) 2019.11.08
고대가요와 향가  (0) 2019.11.08
고대 문학의 흐름  (0) 2019.11.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