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H_RECORDS

악장, 시조, 가사 본문

Records 1 : Study/Korean Language

악장, 시조, 가사

피아노치는 개발자, kkim 2019. 11. 8. 12:49

1. 악장(樂章)

: 조선 초기에 궁중 의식을 위해 쓰임.

: 훈민정음을 test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작품이 있음. 용비어천가(세종, 반포 전), 월인천강지곡(세조, 불교)

 

2 시조

: 고려 중엽 이후 신흥 사대부의 성리학(유교적) 이념을 표출하며 만들어짐.

: 4음보 (3434, 3543 등), 3장 6구 45자 내외. 3•4조, 4•4조.

: 평시조 = 시조의 기본형. 단형(斷刑) 시조. 형식을 지키며 제목 X

: 엇시조, 사설시조 = 중장(or 초장/종장)이 2배 정도 긴 형태.

: 연시조 = 평시조가 여럿 합쳐진 형태

 

3 가사

: 시조와 마찬가지로 가사체(3•4조, 4•4조)를 지킴.

: 정격 가사 = 마지막 행의 첫 구가 시조의 종장과 같이 3음절로 된 형태

: 변격 가사 = 그 이외의 것.

: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 시조와 상보적 관계를 이루며 발달.

: 전기 = 사대부 중심, 유교적 이념 & 안빈낙도 & 자연 애착 & 숭고미/우아미 - 유배가사(조위-만분가 → 정철-사미인곡{여인에 빗댐, 4계절}/속미인곡{대화체})

- 기행가사(시초=관서별곡 → 정철-관동별곡)

- 내방가사(허난설현-규원가)

: 후기 = 평민, 부녀자 계층, 양반 풍자, 골계미/해학미

- 내방가사=규방가사(덴동어미화전가, 봉선화가)

- 유배가사(송주석-북관곡, 안조환-만언사, 강진형-북천가)

- 용부가(유교의 흐트러짐을 못된 여인에 풍자, 남성 작가)

- 기행가(김인겸-일동장유가, 홍순화-연행가)

- 박인로(태평사/선상탄(전쟁가사) / 누항사(안빈낙도))

- 정하규(농가월령가-달거리, 세시풍속, 월령가)

 

게시일: 2019. 3. 5. 23:09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481143617

 

국어 - 악장, 시조, 가사

1 악장(樂章): 조선 초기에 궁중 의식을 위해 쓰임.: 훈민정음을 test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작품이 있...

blog.naver.com

 

'Records 1 : Study > Korean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 현대 문학(1910~20)  (0) 2019.11.08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0) 2019.11.08
고대가요와 향가  (0) 2019.11.08
고대 문학의 흐름  (0) 2019.11.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