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H_RECORDS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본문

Records 1 : Study/Korean Language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피아노치는 개발자, kkim 2019. 11. 8. 12:47

1. 고려 가요(속요) 高麗歌謠(俗謠)

: 신라 시작, 고려 초까지 향유.

: 민간 구비전승 → 고려 말 궁중에 수용 → 훈민정음 창제 후 성종 때 기록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 평민 계층, 진솔한 생활 감정. 사랑, 이별, 자연 등을 소박/솔직하게 표현.

: 3음보의 분절체(분연체, 연장체), 3•3•2조

사모곡

부모의 사랑을 호미와 낫에 비유

동동

달마다 자연 경물이나 행사를 표현 – 월령가 시초

처용가

향가 <처용가>를 부연해서 부른 무가.

청산별곡

고려 후기 유랑민의 고달픈 삶과 고뇌

가시리

남녀 간의 애탄 이별 노래

서경별곡

서경을 무대로 한 이별가

쌍화점

남녀상열지사

만전춘

남녀상열지사

이상곡

남녀상열지사

 

 

2. 경기체가 景幾體歌

: 경기하여가 景畿何如歌 라고도 함.

: 고려 중기 → 조선 초기, 양반/귀족의 향락적인 생활이 주제

: HOOK = 경(景)긔 엇더ᄒᆞ니잇고

: 한자로 기록

: 한림별곡 = 한림의 여러 유생, 사대부의 자부심과 의욕, 최초 경기체가

: 관동별곡 = 안축, 관동의 아름다운 경치, 기행문학 시초, 정철에 영향 끼침

: 불우헌곡 = 정극인, 성군의 만수무강 축원

: 죽계별곡

 

게시일: 2019. 3. 7. 0:32

원 주소: https://blog.naver.com/kwanho0096/221482062707

 

국어 - 고전소설, 현대 문학(1910~1920년대)

고전소설1 고대소설: 설화를 바탕으로 형성 (서사문학): 설화 → 패관 문학 → 가전체 → 고전소설 설화 →...

blog.naver.com

'Records 1 : Study > Korean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 현대 문학(1910~20)  (0) 2019.11.08
악장, 시조, 가사  (0) 2019.11.08
고대가요와 향가  (0) 2019.11.08
고대 문학의 흐름  (0) 2019.11.08
Comments